Portfolio(13)
-
[희귀질환 치료제] 3. 이뮨앱스 ImmunAbs
그동안 글로벌 제약사들이 앞다투어서 희귀의약품을 생산했지만, 제약사의 비싼 약가 책정과 정부의 의료보험 재정에 대한 부담 때문에 한국에서 활발하게 사용되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 기업들이 개발한 희귀의약품들이 늘어나면서 국내 희귀의약품 시장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의 치료제로서 세계적으로 비싼 약품 리스트에 항상 포함되는 솔리리스는 연간 약 5억원을 감당해야 해 환자들에게 부담이 매우 컸습니다. 또 치료제를 투여하지 않으면 생존기간이 10년이 채 되지않아 환자들은 어쩔 수 없이 솔리리스를 투여하거나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 동일 희귀병을 타겟으로 개발중인 이뮨앱스의 IM-101은 솔리리스에 비해 가격과 약효 모든 부분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
2020.08.07 -
[희귀질환 치료제] 2. 희귀 의약품 Orphan Drug
‘희귀질환’ 이란 무엇일까요? 국가별로 희귀질환을 정의 내리는 기준은 다릅니다. 현재 보건복지부에서 국가관리대상으로 지정한 희귀질환은 1,017개이며 국내 희귀질환자수는 50만 명 이상으로 국민 100명당 1명꼴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희귀 병 환자의 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환자수가 적어 다른 약제대비 임상적 근거가 부족하며 치료방법이 일반적이지 않아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희귀질환 의약품은 수가 적어 대체치료제가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고가’입니다. 대부분 심한 신체적 손상을 가져오는 중증질환이기 때문에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트린다는 문제점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국외의 주요 희귀의약품 기업에는 에브비, 로슈, 파이저 등이 있습니다. 국내에는 신라젠, 제넥신, 오스코텍 등이 있습니다. 국내외..
2020.08.07 -
[희귀질환 치료제] 1. 정부정책
세계에서 가장 비싼 약은 얼마 정도 할까요? 100만원? 1000만원? 1억? 바로 212만5천달러, 한화로 약 25억원 입니다. 이 약은 졸겐스마라는 약으로, 폐 감염과 근육 쇠약으로 이어질 수 있는 희귀한 아동기 질환인 척추 근육 위축증을 한 번의 투약으로 치료하는 약입니다. 2020년 2월 집계된 연간 비용이 가장 비싼 약 상위 10개 항목을 보면 모두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희귀병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라는 점입니다. 이 어마어마한 금액을 환자들이 감당하기엔 많이 벅찹니다 질병관리본부가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수행한 ‘국내 희귀질환자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희귀병 환자들의 생계비에서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40% 이상인 이들은 전체의 22.61%로 5명 중 1명은 소득의 절반 ..
2020.08.07 -
[디지털 헬스케어] 3. 먹지마세요 사용하세요 '디지털 치료제'
사람들은 모두 아프지 않고 건강한 삶을 원합니다. 우리의 희망과 달리 세상에는 다양한 질병들이 존재하며 미리 예측해 완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의학 분야의 발전으로 디지털 헬스케어라는 분야의 혁신이 일어나고있습니다. 우리는 이제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불면증을 치료하고 전자 캡슐을 통해 암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바로 디지털 헬스케어 중 각광받고 있는 ‘디지털 치료제’ 덕분입니다. 디지털 치료제란 무엇일까요 ? 디지털 치료제 - 약물은 아니지만 의약품과 같이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SW)를 의미합니다. 질병을 예방/관리/치료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게임,가상현실(VR),인공지능 등 디지털 고도화에 따른 치료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약처럼 환자에게 처방하는 것입니..
2020.08.06 -
[디지털 헬스케어] 2. 원격의료 선두주자 ‘Teladoc’
병원에 갔는데 30분 넘게 대기했더니 진료는 3분도 안 돼서 끝났던 적 있지 않나요? 혹은 정기적으로 같은 약을 먹는데 귀찮게 계속 병원까지 가서 처방전만 받아와야 했던 경험은요? 이렇게 증상이 가볍거나 만성 질환을 가진 경우 병원까지 오가는 게 번거로워 그냥 원격 진료를 받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보신 분들도 많을 텐데요. 현재 한국에서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제한적으로 원격진료를 허용하고 있긴 하지만 원래 한국에서는 오진이나 약물 악용 등의 문제로 의료법상 원격 진료가 전면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7월부터 국내 의사와 재외국민 간 원격 진료 및 상담 허용) 반면 해외에서는 오래전부터 원격의료 서비스를 도입해 이용했습니다. 게다가 최근 코로나19로 ‘비대면’ 바람이 불며,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이 전성기..
2020.08.06 -
[인체지방] 4. 지방 바이오 시대의 시작, 모닛셀
앞의 시리즈들을 보면서 지방이 여러모로 활용도가 높고 가치 있는 것은 알겠지만, 아직은 내 지방으로 필러를 만든다던가 난치병 치료제를 만든다는 것들이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이야기로 들리실 수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국내 최대 비만 치료 전문 의료기관인 365mc가 연간 시술하는 지방흡입 건수는 2만 건 이상이고 이를 통해 추출되는 지방의 양은 32t에 달합니다. 이 속에는 무궁무진하게 활용 될 수 있는 ECM과 줄기세포들이 있겠죠. 이를 활용하기 위해 365mc가 뉴플라이트와 함께 모닛셀이라는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모닛셀은 지방의 전방위적 활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회사입니다. 365mc의 안정적인 지방 추출량을 기반으로 충분한 양의 ECM과 줄기세포를..
2020.08.06